[React] useCallback과 useMemo를 제대로 사용하는 법
useCallback
React 문서에는 아래와 같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const memorizedCallback = useCallback(() => {
doSomething(a,b);
}, [a,b]); // function , dependencies
메모이제이션된 콜백을 반환합니다.
콜백과 그것의 의존성 값의 배열을 전달해야 합니다. useCallback은 콜백의 메모이제이션된 버전을 반환할 것입니다. 그 메모이제이션된 버전은 콜백의 의존성이 변경되었을 때에만 변경됩니다. 이것은, 불필요한 렌더링을 방지하기 위해 (예로 shouldComponentUpdate를 사용하여) 참조의 동일성에 의존적인 최적화된 자식 컴포넌트에 콜백을 전달할 때 유용합니다.
useCallback(fn, deps) 은 useMemo(()=>fn, deps) 와 같습니다.
useMemo
React 문서에는 아래와 같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const memoizedValue = useMemo(() => computeExpensiveValue(a, b) [a,b]);
메모이제이션된 값을 반환합니다.
"생성(create)" 함수와 그것의 의존성 값의 배열을 전달해야합니다. useMemo는 의존성이 변경되었을 때에만 메모이제이션 된 값만 다시 계산할 것 입니다. 이 최적화는 모든 렌더링 시의 고비용 계산을 방지하게 해 줍니다.
useMemo로 전달되 함수는 렌더링 중에 실행된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배열이 없는 경우 매 렌더링 때마다 새 값을 계산하게 될 것 입니다.
최적화는 진짜로 필요할때까지 기다리는 것
위 글에서 보여주는 예시코드입니다.
function CandyDispenser() {
const initialCandies = ["snickers", "skittles", "twix", "milky way"];
const [candies, setCandies] = React.useState(initialCandies);
const dispense = candy => {
setCandies(allCandies => allCandies.filter(c => c !== candy));
};
return (
<div>
<h1>Candy Dispenser</h1>
<div>
<div>Available Candy</div>
{candies.length === 0 ? (
<button onClick={() => setCandies(initialCandies)}>refill</button>
) : (
<ul>
{candies.map(candy => (
<li key={candy}>
<button onClick={() => dispense(candy)}>grab</button> {candy}
</li>
))}
</ul>
)}
</div>
</div>
);
}
렌더링 떄마다 새롭게 만들어지는 dispense 함수를 useCallback을 사용했을 때 과연 성능이 좋아질 것인가? 하는 질문이 있습니다. useCallback을 쓰면 함수를 재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성능이 좋아질 것이라고 판단했지만 저자는 이에 대해 이런 지적을 합니다.
실행되는 모든 코드는 한줄한줄 비용이 소모된다.
useCallback을 사용한 코드를 이렇게 변경할 수 있다.
const dispense = candy => {
setCandies(allCandies => allCandies.filter(c => c !== candy));
};
const dispenseCallback = React.useCallback(dispense, []);
이부분이 실행될때 마다 함수가 선언되고 빈배열을 정의해야 한다. 그리고 useCallback 또한 호출해야 한다. 게다가 함수 자체를 메모이제이션 해 두기 위해 추가로 메모리까지 사용되게 된다.
이 dispense 함수를 핸들러로 추가될 때 onClick={() => dispense(candy)} 와 같이 선언되어있습니다. 이 때문에 매 렌더링 시에는 새로운 함수가 생성되 전달되고 button은 다시 렌더링이 이루어 진다. 이렇게 되면 useCallback으로 감싼 함수는 메모리에 남아있는 상태에 새로운 함수가 다시 생성되며 메모이제이션의 이점도 사라집니다.
initialCandies 에 useMemo를 사용한다면?
const initialCandies = ['snickers', 'skittles', 'twix', 'milky way']
function CandyDispenser() {
const [candies, setCandies] = React.useState(initialCandies)
// ...
어차피 변경되지 않을 값이라면 컴포넌트 외부에 선언하는 것이 더 올바른 방법입니다. useMemo를 사용하게 될 경우 생성 함수를 만들어야 하고, 의존성 배열을 생성해야 하며, useMemo를 추가적으로 호출해야 합니다.
useMemo와 useCallback을 사용해야하는 시점
useMemo 와 useCallback 을 사용해야하는 상황을 두 가지로 표현하고 있다.
1. 참조 동일성 (Referential equality)
2. 고비용의 복잡한 연산
참조 동일성
참조 동일성의 경우 레퍼런스를 비교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non-primitive type 일 경우 레퍼런스로 비교를 하게 되는데 객체 내부의 값은 같더라도 그 래퍼런스가 다르게 되는 경우에도 렌더링이 발생하는 상황을 막고 싶을 때 사용해야한다는 의미 입니다.
본문에 사용된 DualCounter의 예를 보면 더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function CountButton({ onClick, count }) {
return <button onClick={onClick}>{count}</button>;
}
function DualCounter() {
const [count1, setCount1] = React.useState(0);
const increment1 = () => setCount1(c => c + 1);
const [count2, setCount2] = React.useState(0);
const increment2 = () => setCount2(c => c + 1);
return (
<>
<CountButton count={count1} onClick={increment1} />
<CountButton count={count2} onClick={increment2} />
</>
);
}
CountButton 의 prop으로 들어가는 count1or2와 increment1or2는 DualCounter 가 렌더링 될 때마다 새롭게 생성되므로 두개의 CounterButton 중 하나만 눌려도 두 개의 버튼 모두다 렌더링 됩니다.
불필요한 렌더링이 이루어 지는 이 상황을 해결할 때 useMemo와 useCallback을 사용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const CountButton = React.memo(function CountButton({ onClick, count }) {
return <button onClick={onClick}>{count}</button>;
});
function DualCounter() {
const [count1, setCount1] = React.useState(0);
const increment1 = React.useCallback(() => setCount1(c => c + 1), []);
const [count2, setCount2] = React.useState(0);
const increment2 = React.useCallback(() => setCount2(c => c + 1), []);
return (
<>
<CountButton count={count1} onClick={increment1} />
<CountButton count={count2} onClick={increment2} />
</>
);
}
useMemo의 생성함수를 보시면 매개변수로 넘어오는 onClick과 count가 같다면 값은 값이 리턴되므로 prop이 바뀔때만 리렌더링이 이루어집니다.
const CountButton = React.memo(
function CountButton({ onClick, count }) {
return <button onClick={onClick}>{count}</button>;
},
[onClick, count]
);
prop으로 넘어오는 onClick과 count 같은 경우에도 useCallback을 사용하여 dependency에 빈 배열을 넣었기 때문에 최초의 값을 메모이제이션을 합니다. 따라서 count 가 변경되었을 때만 렌더링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const [count1, setCount1] = React.useState(0);
const increment1 = React.useCallback(() => setCount1(c => c + 1), []);
const [count2, setCount2] = React.useState(0);
const increment2 = React.useCallback(() => setCount2(c => c + 1), []);
고비용의 복잡한 연산
이는 useMemo가 리액트의 hook에 bulit-in 되어있는 또다른 이유라고 합니다.( 이것은 useCallback 의 경우 적용되지 않습니다.)
function RenderPrimes({ iterations, multiplier }) {
const primes = React.useMemo(() => calculatePrimes(iterations, multiplier), [
iterations,
multiplier
]);
return <div>Primes! {primes}</div>;
}
위와 같이 caculatePrimse와 같이 연산에 비용이 많이드는 함수가 존재할 때, 렌더링마다 이 함수가 호출되게 구현했더라도 그 값이 정말 변경되었을 때만 호출되게 할 수 있습니다.
결론
결론적으로 최적화가 필요하기 전까지는 이를 고려하는데 많은 비용을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합니다. 정확한 측정과 검증이 없이 섣부른 최적화는 피하라는 뜻입니다. 최적화가 반드시 필요해지는 경우가 오지 않는 이상 이에 대한 투자는 피하고 오히려 현재 자신의 React를 얼마나 잘 쓰고 있는지 그에 대한 투자가 더 필요합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