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번시간에는 백엔드에 조금더 가까워질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배웠다.
데이터베이스는 컴퓨터에 34.64.187.2 라는 ip 형태로 그려져있다.
이 컴퓨터안에는 약 300개 정도의 프로그램이 생성되어있고 그것을 port 번호로 나눠서 사용하고 있다.
백엔드에서 연결을 통해 연결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HTTP의 개념과는 다르다. HTTP와 다른 점은 백엔드는 한번 연결해놓으면 계속해서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백엔드에서는 내컴퓨터가 localhost환경일때 브라우저에서 백엔드로 요청할 수 있게 접속문을 열어서
24시간 동안 대기해야한다.
이런것들을 추가해주기 위해서는 대부분 사용하는 것들이 express 혹은 koa등등이 있는데
graphql로 연결하고 싶다면 프론트엔드에서는 apollo-client 백엔드에서는 apollo-server를 사용한다.
express는 rest-api를 사용할 때 이용하고, apollo-server는 graphql 전용이다.
apollo-server를 만들때는 2가지 사항이 존재한다.
- api를 먼저 만들어줘야한다. - resolve
- playground에서 어떤 데이터를 리턴하는지 타입이 정해진다. 그 타입을 넣어야 한다.
firebase란?
firebase는 백엔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구글에서 제작한 프로그램이다.
데이터베이스에서는 firebsae BASS SASS PASS 등을 제공해주고
백엔드에서는 데이터를 검증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etc.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022년 02월 09일 - 검색기능 추가, 쓰트롤링 디바운싱 (0) | 2022.02.09 |
---|---|
[TIL] 2022년 02월 04일 (0) | 2022.02.04 |
[TIL] 2022년 02월 03일 TIL - 클래스 컴포넌트 (0) | 2022.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