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Code terminal 에서 linux 명령어를 사용하고 싶다면 powershell 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러 방법을 찾아 보았는데 그 중에 cmd.exe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Zsh와 Oh-my-zsh를 찾아서 설치할 수 있었다.
Zsh를 사용하는 이유
Zsh를 사용하면 터미넬을 좀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많고 무엇 보다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다.
명령어는 리눅스와 동일하다
WSL 설치
먼저 Zsh 설치전 윈도우 환경에 리눅스를 사용할 WSL을 설치해야 한다.
재부팅 후 시작 - "Microsoft Store" 에 접속합니다.
검색창에 Ubuntu 검색후 첫번째 항목에 Ubuntu를 설치해줍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시작 - 검색창에 - "Ubuntu" 검색 - 실행
설치 완료후 시작 - "Ubuntu" 검색 - 실행 하면 이렇게 cmd 창이 실행됩니다.
Ubuntu 실행후 username 과 password 를 설정해줍니다.
Package 업데이트를 위한 root 권한으로 전환하는 "sudo -i" -> password를 입력해줍니다.
Root 권한에서 "apt-get update 를 입력해 업데이트를 진행 합니다.
gcc/g++ 설치를 위해 "apt-get -y install gcc g++" 입력해줍니다.
vim 설치를 위해 "apt-get -y install vim" 을 입력
"su 사용자명" 을 입력해 root 권한 나가기 (사용자면 7번째 username 참조)
- 우분투에서 vim을 사용한 소스코드 작성법
(1) Terminal 에서 "vim 파일명" 을 입력해서 파일 생성
(2) vim 기초 사용법 정리링크 : https://www.morenice.kr/25
Linux 개발환경 - vim 사용법
vim이란 간단히 말해 텍스트 에디터이다. 기존 터미널 환경의 vi라는 에디터에서 기능 개선 및 확장이 되었고, 그래서 이름이 "vi + improvement = vim"이다. 현재 터미널을 통하여 하는 개발 도구 중
www.morenice.kr
vim 에서 "i"를 누르면 편집 모드, 내용 입력후 esc를 누르고 ":wq"를 입력해서 저장후 종료[4]
(3) 컴파일: gcc -o <실행파일 이름><소스코드 파일명>
vim helloworld_server c
gcc -o hellworld_server helloworld_server.c
결론
지금까지 본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의 설치과정, 환경 설정 및 간단한 vim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참고
'os > 윈도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oh-my-zsh 설치하기 - Zsh + Oh-my-zsh 로 설정하기 VS Code Linux 명령어 사용하기 (0) | 2021.10.07 |
---|---|
윈도우 개발 세팅 (2) - node 설치 or React , Vue , Angular 설치 (0) | 2021.10.07 |
윈도우 개발 세팅 (1) - git 설치법 (0) | 2021.10.07 |